안녕하세요. 여러분에게 좋은 정보를 제공하는
휴대폰 성지 다나와폰입니다.
오늘은 e심 서비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9월 부터 시행되는 e심 서비스 이른바 1폰 2번호 서비스가 시작됩니다.
1폰 2번호가 가능한 스마트폰 종류부터 알아볼까요?
먼저 삼성전자 스마트폰 중에선 지난 26일 출시된
삼성의 폴더블폰 갤럭시 Z 플립 4와 갤럭시 Z 폴드 4가 1폰 2번호 이용이 가능합니다.
삼성은 이번에 출시된 스마트폰부터 e심 기능을 장착했기 때문인데요.
애플의 경우는 지난 2018년 출시한 아이폰10 부터
현재 주력 제품인 아이폰13 까지 모두 이용이 가능하답니다.
그렇다면 정확하게 e심은 무엇일까요?
스마트폰을 처음 개통할 때 구매하는 소형 칩이 유심(USIM) 입니다.
여기에는 사용자의 전화번호 등 개인식별 번호가 저장되고
유심이 있어야 전화를 걸고 받을 수 있습니다.
e심도 유심처럼 사용자의 전화번호 정보 등이 담겨 있는데요.
하지만 e심은 별도 칩을 구매할 필요 없이 통신사가 제공하는
QR 코드를 스마트폰으로 스캔해 다운로드만 받으면 바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e심에 대해 간략하게 정리해 드리자면 1폰 2번호는 하나의 스마트폰에
유심과 e심이 들어가 각각의 전화번호를 부여받는 것인데요.
다만 개통할 때 두 개의 전화번호 명의자는 동일인이어야 합니다.
e심도 유심처럼 처음 사용할 때 약 2750원 비용이 드는데요.
두 개의 전화번호를 사용하는 것인 만큼 번호마다
통신사 요금제에 가입해 매달 통신 비용을 따로 내야 하죠.
e심으로 쓸 수 있는 요금제는 국내 통신 업체가 제공하는
5G와 LET의 모든 정규 요금제에 가입할 수 있고,
두 개의 전화번호를 같은 통신사에서 가입하지 않아도 된답니다.
하나는 5G, 하나는 LTE 요금제에서 고를 수도 있는 것이죠.
통신 업체들은 1폰 2번호 고객들을 위해 정규 요금제보다
훨씬 저렴한 별도 전용 요금제 출시도 검토 중입니다.
고객들이 두 번호 모두 같은 통신회사를 이용하도록 붙잡기 위해서인데요.
이미 KT는 무제한 요금제를 쓰는 기존 자사 가입자가
1폰 2번호에 가입해 추가 번호를 개통할 경우 월 8800원만
더 내면 데이터 1GB와 무제한 통화, 문자를 제공하기로 했습니다.
다만 이 같은 요금제는 정규 요금제가 아니어서 다른 할인 혜택은 받지 못하죠.
여러분들이 가장 궁금해하실 통신사 할인 혜택도 중복으로 가능한지 알려드리겠습니다.
공시 지원금은 스마트폰을 살 때 주어지는 혜택이어서 한 번만 받을 수 있습니다.
반면 월 요금의 25%를 할인해 주는 선택 약정 할인은 통신 3사 정규 요금제 가입 때
주어지는 혜택인 만큼, 2개의 번호 모두 할인받을 수 있어요.
다만 해당 통신회사 서비스를 최대 2년간 바꾸지 않고 유지하겠다는 약정을 해야 한답니다.
결국에는 공시 지원금+공시 지원금 조합(X)
월 요금 25% 할인+월 요금 25% 할인 조합(O) 이렇게 된다는 것이죠.
하지만 공시 지원금과 월 요금 25% 할인은 통신 3사에서만
제공하는 혜택이어서 알뜰폰에는 해당하지 않습니다.
e심도 유심과 마찬가지로 정규 요금제에 가입한다면 현재 통신사가
제공하는 가족끼리 결합할인을 동일하게 받을 수 있습니다.
또 e심 사용 시 어느 번호로 결려온 전화인지 어떻게 아는지 궁금해 하실텐데요
전화를 걸 때 두 개 번호 중 어떤 걸 쓸지 설정할 수 있습니다.
수신 때도 둘 중 어떤 번호로 걸려온 것인지 화면에 표시가 됩니다.
다만 카카오톡의 경우 스마트폰 운영체제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안드로이드를 쓰는 삼성전자 스마트폰에서는 듀얼 메신저 기능이 지원되기 때문에
하나의 스마트폰에서 번호마다 카카오톡 앱을
내려받아서 2개를 동시에 쓸 수 있는 반면에 아이폰은 듀얼 메신저 기능을
지원하지 않아 카카오톡 앱은 하나만 설치가 가능합니다.
지금까지 e심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휴대폰을 싸게 구입하고 싶다면
휴대폰 성지 매장 다나와폰에서
상담받아보세요.